728x90
728x90

고물가 행진이 계속되면서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의 알뜰폰 이용이 알뜰폰 유심칩의 판매도 증가시켰다고 합니다. 알뜰 교통카드 판매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마트 24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알뜰폰 유심칩 매출은 매년 평균 400% 증가했다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알뜰폰 하면 효도폰이나 초등학교 입학폰으로 잘 알려져 있었는데요. 현재의 알뜰폰, 알뜰 교통카드  현황과 유심칩 등 어디에서 구매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뜰폰 유심칩 구매하기

 

알뜰폰은 이동통신망을 직접 구축하지 않고, 기존 이동통신사의 망을 임대해 재판매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와 통화 품질은 거의 비슷하면서 가격이 저렴해 최근 통신비 절약을 위해 이를 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편의점에서 유심칩을 구매한 뒤 알뜰폰 사업자와 요금제를 선택해 간편히 셀프 개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도 그렇게 어렵지 않은데요. 

해마다 알뜰폰 유심칩을 편의점에서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이마트 24는 취급하던 유심의 종류도 2019년 2종에서 현재 9종으로 늘려 판매 중이라고 합니다. 가장 인기인 건 업계 단독으로 판매 중인 통합 알뜰폰 상품 ‘LG유플러스 원칩(8800원)’이며  이마트 24 관계자는 “알뜰폰 사용이나 해외여행 준비를 위해 가까운 편의점에서 유심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로 인해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며 “고물가 영향으로 소비를 줄인 ‘짠테크’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마트 24 유심칩

 

LG유플러스 망을 이용하는 30여개 중소 알뜰폰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는 해당 칩은 올해 1∼2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150%, 295% 늘었다고 합니다. 알뜰폰 유심칩을 구매하시고 싶으시다면 이마트 24 편의점에 가셔서 구매 후 개통을 하시면 됩니다. 엔데믹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과 해외여행을 나서는 고객들을 위한 유심도 판매 중입니다. 유럽 40개국과 터키에서 15일동안 5GB를 사용할 수 있는 ‘트래블리 유럽·터키 통합유심’, 아시아 27개국 및 미국 전역에서 10일동안 6GB를 사용할 수 있는 ‘트래블리 아시아·미국 유심’ 등 해외용 유심칩과,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국내에서 5일간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트래블리 한국5일 데이터무제한유심’도 판매 중이니 참고 하세요. 

 

 

알뜰 교통카드

 

20일 GS리테일에 따르면 편의점 GS25는 업계 최초로 이달부터 선불형 알뜰교통카드 ‘로카 M알뜰교통카드플러스’를 선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는 국토부에서 지원하는 교통비 할인제도인데요. 혜택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클릭해 주시면 얼마나 아낄 수 있는지 여부와 각종 혜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는 현재 사용한 대중교통비의 30%를 아낄 수 있는데 지난달 기준 67만여 명이 이용 중이라고 합니다.

GS25 알뜰 교통카드

선불형 알뜰교통카드를 구매하고 금액을 충전한 소비자는 기존처럼 신용카드 신청·대기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금액과 적립금액을 대중교통뿐 아니라 대부분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전월 20만 원 이상 결제하면 스마트폰 앱‘로카 M충전소’를 통해 교통 사용 금액의 10% 포인트를 추가로 적립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GS25는 현재 2000여 점에서 취급하는 선불형 알뜰교통카드를 널리 알리는 마케팅 활동을 하며 올해 말까지 1만 점 이상으로 확대 운영해 국민의 교통 복지 및 편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오프라인 플랫폼 역할을 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GS25에서는 카드발급 신청이 없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출시했으니 이용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momstouch7979.tistory.com/123

 

알뜰교통카드 교통비 30% 아끼는 꿀팁 대공개, 더커진 혜택 및 카드사

알뜰교통카드라고 들어보셨나요? 알뜰교통카드의 혜택이 7월부터 훨씬 더 커졌는데요. 집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타러 갈 때, 이동한 거리만큼 교통비를 할인해 주는 카드입니다. 혜택이 커진 만“선불형 알뜰교통카드를 구매하고 금액을 충전한 소비자는 기존처럼 신용카드 신청·대기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다”며 “충전금액과 적립금액을 대중교통뿐 아니라 대부분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쓸 수 있다”고 안내했다.

momstouch7979.com

 

728x90
728x90
728x90
728x90

알뜰교통카드라고 들어보셨나요? 알뜰교통카드의 혜택이 7월부터 훨씬 더 커졌는데요. 집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타러 갈 때, 이동한 거리만큼 교통비를 할인해 주는 카드입니다. 혜택이 커진 만큼 어떻게 이용을 해야 최대로 아낄 수 있는지 오늘 살펴보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공사

알뜰 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최대 800m)에 비례해 최대 20%의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카드사가 약 10%의 추가할인을 제공해 대중교통비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한 달에 15차례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때 해당이 되는데요. 마일리지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집에서 출발 전 알뜰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앱)에 접속해 화면 하단에 있는 버튼을 누른 뒤 대중교통까지 걸어가면 됩니다. 이후 해당 교통수단에서 하차한 이후 목적지에 도착해 다시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마일리지가 쌓이는 방식이에요.

 

 

 

7월부터 더 커진 혜택 확인하기

 

 

 

우선 마일리지 발급 횟수가 월 44회에서 월 60회까지 늘어납니다. 마일리지 적립금은 월 1만 1000원 ~ 4만8000원에서 월 1만 5000원 ~ 6만 6000원으로 늘어납니다. 또 19~34세 청년이거나 저소득층일 경우 적립 한도는 각각 650원과 1100원으로 늘어난다. 아울러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이나 환경 관련 기념일에는 누구나 마일리지를 2배 적립 받을 수 있다.

 

1회 대중교통 요금이 2000원 미만이면 최대 250원, 2000원 이상 3000원 미만이면 350원, 3000원 이상이면 최대 450원이 적립됩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서울시민 A 씨는 매일 800m를 걸어 지하철을 탑니다. 하루에 2차례 씩, 교통비 2,500원. 매일 그렇게…한 달에 60차례 지하철 요금으로 총 75,000원을 썼습니다. 그동안 A 씨는 44회까지만 마일리지가 적립돼 15,400원을 돌려받았습니다. 그러나 7월 3일 이후부터 앞으로는 60회까지 적립받아 환급받을 요금이 21,000원까지 늘어납니다.한 달 교통비 75,000원의 28%를 아낄 수 있는 겁니다.여기에 만 19세~34세인 청년층이거나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인 저소득층인 경우 혜택이 더 늘어나 교통비의 40~70%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1년에 잘만하면 80만 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이왕이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보는 것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알뜰 교통카드 이용가능한 카드사

 

 

참여 카드사 수는 기존 신한·우리·하나·롯데·티머니·DGB 등 6개사에 KB국민·NH농협·비씨·삼성·현대카드 등 5개사가 더해져 11개사로 늘었습니다. 각각의 카드는 전원 실적 연회비에 따라 할인율을 달라지기 때문에 가입하시고자 하는 카드사의 정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알뜰교통카드를 발급받은 뒤에는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해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 연회비 할인율 할인한도(전원실적)
신한 신용카드 1만 5천원(마스터) 10 % 1만원(30만원) / 2만원(50만원) / 3만원 (100만원)
체크카드     2천원(20만원) / 3천원(30만원) / 5천원(50만원)
/7천원 (100만원)
삼성 신용카드 8천원 10 % 7천원 (30만원) / 1만 5천원 (60만원)
체크카드     2천 500원(30만원)
KB 국민 신용카드 8천원 10 % 5천원 (30만원)
체크카드     2천 포인트리(20만원)
현대 신용카드 1만원 10 % 5천원 (40만원) / 8천원 (80만원)
우리 신용카드 1만 3천원 (비씨)/
1만 5천원(마스터)
  1만원 (30만원) / 2만원 (70만원) / 4만원 (120만원)
체크카드     3천원 (버스, 지하철 합산 5만원)
하나 신용카드 1만 7천원 20% 1만 5천원(50만원)
체크카드     5천원 (3만원)
비씨 신용카드 6천원 15 % 7천원(30만원) / 1만 2천원(80만원) / 1만 5천원(100만원)
NH농협 신용카드 1만 3천원 10 % 1만원(40만원) /2만원 (80만원)
체크카드     3천원 (20만원) / 5천원 (80만원)

연회비와 신용/ 체크카드 확인하시면서 전원실적 대비 가성비가 괜찮은 카드로 선택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728x90
728x90

+ Recent posts